경제용어사전

사채

 

회사채는 기업이 시설자금이나 운영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을 말한다. 기업은 채권을 발행함으로써 사채업자에게 채무를 부담하고 이자를 정기적으로 지급해야 하며 약속된 기일에 원금을 상환해야 한다. 회사채가 주식과 다른 점은 일정한 상환기한이 있고, 기업이익의 유무에 상관없이 확정이자를 지급해야 하며, 회사 해산의 경우에는 잔여재산분배에 주식보다 앞서 상환된다는 점이다.

발행조건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되는데 먼저 보증 및 담보의 유무에 따라 보증사채, 무보증사채 및 담보부사채 등으로 분류된다. 금리결정방법에 따라서는 확정이자부사채와 변동금리부사채로 나뉜다. 또 이익참가형태에 따라 일반사채,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교환사채(발행회사가 소유하고 있는 상장유가증권으로 교환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사채), 이익참가사채(정해진 이자 이외에 발행회사의 이익배당에도 참가할 수 있는 사채)로 각각 분류된다.

그밖에 상환기간에 따라 단기사채·중기사채·장기사채로, 원금의 상환방법에 따라 만기전액상환사채·정기분할상환사채·감채기금부사채·임의상환사채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 상장요건

    상장을 원하는 발행회사는 주식의 상장신청서를 증권거래소에 제출하여야 하며 증권거래소는 유가...

  • 상장예비심사

    기업이 예비심사청구서를 제출하면 한국거래소는 제출서류 검토, 대표주관회사 면담, 현지심사,...

  • 스크루드라이브 조업[screwdriver work]

    단지 드라이버 한 개로 조립하여 완성품을 만들어내는 조업방식 또는 이러한 방식을 취하고 있...

  • 스트립스채권제도[Separate Trading of Registered Interest and Principal of Securities, STRIPS]

    채권의 원금부분(hedging bond)과 이자부분을 분리하여 별도로 매매되는 채권을 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