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상장요건

 

상장을 원하는 발행회사는 주식의 상장신청서를 증권거래소에 제출하여야 하며 증권거래소는 유가증권 상장규정에 의하여 상장적격여부를 심사한 후 적합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증권관리위원회의 승인을 얻어 상장하고 있다. 이는 주식을 사는 투자자들의 보호를 위해 건전한 기업만을 상장시키기 위한 것이다.

현행 상장규정상 주요 상장요건은 ① 당해 주식의 발행회사가 설립 후 3년이 경과하고 계속적으로 영업을 하고 있을 것 ② 자기자본이 100억원이상이고 t상장예정주식총수가 100만주 이상일 것 ③ 매출액이 최근 3사업연도 평균 200억원 이상이고 최근사업연도에 300억원 이상일 것 ④소액주주가 소유하고 있는 주식의 총수 및 의결권있는 주식의 총수가 상장신청일 현재 발행주식총수의 30% 이상일 것 등 영업실적과 주식 소유분산 등에 관한 여러가지 조건을 정하고 있다.

  • 스크루플레이션[Screwflation]

    물가 상승과 실질임금 감소 등으로 중산층의 가처분 소득이 줄어드는 현상을 말한다. 돌려 조...

  • 신용분석가[credit analyst]

    신용가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개인 또는 법인의 금융거래를 분석하는 사람. 채권발행자의 금융상...

  • 솔벤시 II[SolvencyⅡ]

    보험회사가 예상하지 못한 손실이 발생해도 보험금 지급의무를 이행할 수 있도록 준비금을 쌓게...

  • 실버 푸어[silver poor]

    노후 자금이 없어 힘겨운 노년 빈곤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