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하도급 법

 

기술유용 행위뿐 아니라 하도급 대금의 부당 단가인하, 부당 발주취소, 부당 반품행위 등에 대해 소송을 낼 수 있도록 한 법안.

손해액의 최대 3배까지 배상책임을 지도록 하는 강력한 내용을 담고 있다.

박근혜 정부의 경제민주화 1호 법안으로 꼽힌다. 또 ''납품단가 후려치기''의 대응책으로 중소기업협동조합이 원사업자(원청업체)와 직접 납품단가 조정을 협의할 수 있도록 했다. 협의가 결렬되면 하도급 분쟁조정협의회를 통해 조정할 수 있다.

  • 혁신수용자[innovator]

    혁신제품을 제일 먼저 구매하는 사람들. 이들은 제품이 단지 새로운 것이기 때문에 구매하는 ...

  • 환가료율

    외국환을 사고 팔때 외국환은행이 자금부담에 따른 이자 성격으로 고객에게 징수하는 일종의 수...

  • 한전채

    한국전력공사(한전)가 한국전력공사법에 근거해 발행하는 채권을 말한다. 전력거래대금 지원 등...

  • 화폐기능과 환율

    화폐로서 인정받기 위해서는 교환의 매개체로 사용 가능하고, 가치를 측정할 수 있는 기준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