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공유경제

[sharing economy]

한 번 생산된 제품을 여럿이 공유해 쓰는 협업 소비를 기본으로 한 경제를 의미한다. 쉽게 말해 "나눠쓰기"란 뜻으로 자동차, 빈방, 책 등 활용도가 떨어지는 물건이나 부동산을 다른 사람들과 함께 공유함으로써 자원활용을 극대화하는 경제 활동이다. 소유자 입장에서는 효율을 높이고, 구매자는 싼 값에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소비형태인 셈이다.

2008년 미국발 경제 위기의 충격이후 새롭게 탄생한 개념으로 로렌스 레식(Lawrence Lessig) 하버드대 법대 교수가 처음 만들어 냈다. 대량생산과 대량소비가 특징인 20세기 자본주의 경제에 대비해 생겨난 개념이다. 미국 시사 주간지 타임은 2011년 ‘세상을 바꿀 수 있는 10가지 아이디어’ 중 하나로 공유경제를 꼽았다.

1인 가구의 증가, 합리적 소비 확산 등으로 공유경제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숙박서비스 플랫폼인 에어비엔비, 교통서비스 플랫폼인 우버 등이 있다.

이들 기업은 기존에 소유하고 있던 자산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공유경제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환경 보호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기존의 산업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공유경제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미래의 경제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 가용 외환보유액[usable foreign exchange reserve]

    가용 외환보유액은 정부와 중앙은행이 보유한 외환보유액 중 즉시 활용 가능한 부분을 말한다....

  • 근로소득 세액공제

    근로자의 총급여액에서 일정 금액을 필요경비로 인정하여 공제해주는 제도 소득별로 한도를...

  • 고정장기적합률[fixed assets to stock-holders’ equity and longterm liabilities]

    자기자본 및 고정부채가 고정자산(유형자산) 및 투자자산에 어느 정도 투입되어 운용되고 있는...

  • 기회비용[opportunity cost]

    여러 가능성 중 하나를 선택했을 때 그 선택으로 인해 포기해야 하는 가치 전체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