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탄력성

 

특정 변수가 변화했을 때 수요량이나 공급량이 여기에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알고자 할 때 사용하는 지표다. 가격이 변했을 때 수요량이나 공급량이 변화하는 것을 나타내는 지표는 수요(공급)의 가격탄력성, 소득이 변했을 때 수요량이나 공급량이 변화하는 것을 나타내는 지표는 수요(공급)의 소득탄력성이라고 한다. 수요의 소득탄력성은 소득 변화에 따른 수요량의 변화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수요량의 변화율을 소득의 변화율로 나눠 구한다.

  • 통합재정

    예산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예산으로 구분된다. 중앙정부 예산은 다시 일반회계와 23개 특별...

  • 트럼프정부 6대 국정기조

    도날드 트럼프 미국대통령의 '위대한 미국' 건설을 위한 6대 핵심 과제. 2017년 1월 ...

  • 타이어공기압감지장치[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TPMS]

    타이어에 부착된 자동감지 센서가 타이어의 공기압과 온도를 감지해 타이어의 공기압이 설정된 ...

  • 특정공사

    총공사비가 추정가격 100억원 미만인 신규복합공종공사 중에서도 각 중앙관서의 장이 대안입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