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구성의 오류

[fallacy of composition]

개별적인 것을 합한 것이 전체의 모습과 다를 수 있는 것, 혹은 한 사람, 한 사람은 영리하고 똑똑한데 여러 사람이 모인 군중은 어리석을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마키아벨리는 ‘군주론’에서 “대중은 어리석다. 어리석은 무리를 다스리는 길은 권모술수밖에 없다”는 우민론(愚民論)을 주창했다.

구성의 오류를 개별 경제적 관점에서 볼 경우, 절약은 미덕이 될 수 있으나 국가 전체적 관점에서는 해악이 될 수 있다는 절약의 역설이 대표적이다. 개인이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늘리면 부유해질 수 있지만, 모든 사람이 저축만 하면 총수요가 감소해 사회 전체의 부가 오히려 줄어든다. 저축을 위해 소비를 억제해야 하고 줄어든 소비로 인해 생산된 상품은 팔리지 않고 재고로 쌓인다. 이는 총수요 감소로 이어져 국민소득이 줄어든다. 그렇기 때문에 돈은 버는 것도 중요하지만 필요한 시기에 적절하게 소비하는 것도 중요하다. ‘절약만 하고 쓸 줄 모르면 친척도 배반한다’는 속담은 구성의 오류를 경계하면서 생산과 소비 균형이 경제 성장의 중요한 요인임을 뜻한다.

관련어

  • 금액가중수익률[amount-weighted yield]

    투자자가 투자한 금액에 대한 수익률. 기간별 투자 수익금 평균으로 수익률을 평가한다. ...

  • 가전용 반도체 칩

    냉장고, 세탁기 등 생활가전에 사용되는 반도체 칩. 2022년 11월 삼성전자가 생활...

  • 관세평가제도

    관세평가란 물품에 대해 이미 제도화된 과세절차를 통해 객관적이고 공정한 방법으로 관세부가액...

  • 구조적 실업[structural unemployment]

    직장 수가 구직자 수보다 적어 발생하는 실업이다. 여러 실업의 형태에 비해 가장 장기적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