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비메모리 반도체

[non-memory chip]

정보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메모리 반도체(D램, 낸드플래스 등)와 달리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제작된 반도체. ''시스템 반도체''라고 불리기도 한다.
주로 연산, 추론 등 정보 처리 목적으로 쓰인다. 컴퓨터의 두뇌로 불리는 중앙처리장치(CPU), 스마트폰에서 CPU 역할을 하는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자동차에 들어가 다양한 기능을 조정하는 차량용 반도체, 전력용 반도체, 이미지센서, AI반도체 등이 대표적이다.

해외에선 비메모리 반도체란 말을 쓰지 않는다. 한국과 달리 반도체를 메모리 반도체, 시스템 반도체, 광개별소자 등 세 가지로 나눈다. 한국식 용어인 비메모리 반도체를 시스템 반도체와 광개별소자로 세분화하는 것이다. 시스템 반도체는 비메모리 반도체 가운데 컴퓨터, 통신기기, 가전기기 ‘시스템’의 핵심 기능을 수행하는 반도체를 뜻한다. 광개별소자로는 센서가 대표적이다.


비메모리가 시황을 덜 탄다는 장점도 있다. 안기현 한국반도체협회 상무는 “표준 제품인 메모리는 진입 장벽이 낮아 공급 변동폭이 크다”며 “비메모리는 특화제품이고 수요처를 확보하지 못하면 생산이 쉽지 않아 시황 변동이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AP 및 CPU를 제조하는 업체가 반도체 시장의 주도권을 쥘 수 있다는 점도 부각되고 있다. 보통 D램 업체들이 AP, CPU업체에 제품을 납품하기 때문에 기술 수준 등 스펙을 요구할 수 있는 쪽은 비메모리 업체다.

  • 바터[barter]

    대기업집단 소속 증권사가 그룹 계열사가 발행하는 채권의 주관·인수 물량을 다른 그룹 증권사...

  • 바이오 프로세서

    삼성전자가 자체개발한 통합센서 반도체. 스트레스 수치와 심박수 체지방 다양한 생체신호를...

  • 병역법

    병역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 법률. 대한민국 국민인 남자는 병역의무를 성실히 수행해야 하며,...

  • 불심검문

    경찰관이 수상한 거동, 기타 주위의 사정을 합리적으로 판단해 죄를 범했거나 또는 범하려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