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방사성의약품

 

특정 수용체에 결합하는 화합물에 방사선을 방출하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붙인 의약품.

치료제는 투과율이 낮고 파괴력이 강한 동위원소를 결합해 만들고 진단용 의약품은 투과율이 높고 파괴력이 약한 동위원소를 활용한다.

진단용 방사성 의약품은 직접 조직을 떼어내 검사하는 기존 진단 방법에 비해 간편하다. 또 암세포 추적관찰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기발견뿐 아니라 전이와 재발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데 활용된다.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등도 마찬가지다.

치료제로 쓰이는 방사성의약품은 화합물에 파괴력이 강한 입자를 결합해 종양 표면에 붙어 세포를 저격한다. 이때 방출되는 방사선은 거의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정상세포를 공격하면서 생기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치료용으로는 갑상샘암, 스티브 잡스 애플 창업자가 앓았던 신경내분비종양 등에 주로 활용된다. 최근에는 전립샘암 치료제로도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 베지플레이션[Vegeflation]

    채소(Vegetable)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채소류 가격 급등에 따...

  • 배타적 경제수역[exclusive economic zone, EEZ]

    영해기선으로부터 2백해리 범위 내에서 연안국의 경제주권이 인정되는 수역을 말한다. 1994...

  • 바코드[bar code]

    넓거나 좁은 막대기 모양의 도안으로서 종이나 그 비슷한 재료에 인쇄되어 있다. 컴퓨터는 빛...

  • 불화크립톤[KrF]

    크립톤과 불소의 화합물로, 무색의 가스이다.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노광제로 사용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