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효용, 한계효용

[utility, marginal utility]

효용이란 사람들이 재화나 서비스를 소비함으로써 얻는 만족이다. 한계효용은 한 재화나 서비스를 한 단위 더 소비함으로써 얻는 추가적 만족을 뜻한다. 한계(marginal)란 말은 ‘무엇을 하나 더 추가한다, 보탠다’는 뜻으로 상품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 어떤 상품의 한계효용은 그 상품의 소비량에 반비례한다. 예를 들어 물은 부존량이 풍부하고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많이 소비하고 있다. 따라서 물의 한계효용은 낮다.

반면 다이아몬드의 부존량은 많지 않고 소비량은 아주 적다. 그러므로 다이아몬드의 한계효용은 아주 높다. 이게 물이 필수 재화지만 값이 싸고, 다이아몬드는 필수품이 아닌데도 값이 비싼 이유다. ‘다이아몬드와 물의 역설’은 경제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애덤 스미스가 ‘국부론’에서 제기한 문제로 ‘스미스의 역설’이라고도 불린다.

  • 해외증권

    국내기업이 자금조달을 위해 해외에서 발행한 증권을 말한다. 해외증권은 크게 주식연계증권과 ...

  •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

    선입관을 뒷받침하는 근거만 수용하고, 자신에게 유리한 정보만 선택적으로 수집하는 것이다. ...

  • 헤지 거래[hedge trading]

    증권시장에서 발생하는 또는 발생할 가격변동으로부터 야기되는 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이미 보...

  • 회사채 수익률[return of corporate bond]

    매입 채권을 상환시까지 보유한 경우의 수익률. 권면에 정해진 이자에 액면 가격과 발행 가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