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브래디 채권

[Brady bonds]

1980년대 초 멕시코,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 남미 국가들이 외채상환 불능상태에 빠졌다. 이에 니콜라스 브래디 전 미국 재무부장관이 1989년 채권자들인 미국계, 유럽계, 일본계 은행들에 빌려준 돈을 받을 수 있는 묘안을 제시했는데 그것이 바로 브래디 채권이다. 남미지역 국가의 중앙은행, 수출입은행들이 진 빚을 모두 모아 국채 형태인 브래디 채권으로 찍게 하고 이 채권에 대해 미국정부가 지급을 보증했다. 브래디 채권은 남미국가들의 채무 중 일부를 탕감해주는 한편, 상환기간을 25∼30년으로 늘려주고 이자율도 낮춰 적용했다. 이 채권은 만기가 길고 발행국가의 정치·경제·사회적 변수로 가격변동이 심해 투자 리스크도 크지만 그만큼 투자수익률도 높다.

  • 복제율 가이드라인

    위탁 펀드 유형별로 국민연금이 요구하는 일종의 투자 가이드라인을 말한다. △순수주식형 △...

  • 보상판매

    어떤 제품의 제조업자 또는 판매업자 등이 제품을 판매하면서 자사의 구제품을 가져오는 고객에...

  • 부실자산

    은행 등 금융회사들이 여신(대출 등) 업무에서 채권(받을 돈) 확보가 어려운 자산. 연체의...

  • 복합구역

    산업단지 내 산업시설과 마트·커피숍·어린이집 등 편의시설, 청사·소방서 등 공공시설이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