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트레이드 드레스

[trade dress]

상품의 외관이나 포장, 서비스 제공 장소의 독특한 인테리어나 전체적인 외관의 이미지를 말한다. 기존의 상표(trade mark)가 기호나 문자, 평면적인 도형 등에 한정되었던 것과 대조되는 개념이다. 2012년 미국에서 벌어진 삼성과 애플의 지식재산권 관련 소송에서 바로 삼성이 애플의 트레이드 드레스를 침해했는지 여부가 쟁점이 되면서 한국서도 관심이 높아졌다.

트레이드 드레스란 용어는 미국에만 있는 게 아니다. 용어만 달리할 뿐 유럽이나 일본, 그리고 한국도 비슷한 제도를 갖고 있다. 즉 입체상표제도다. 우리 상표법에서도 제품의 형상 또는 상품 포장의 형상 등을 입체 상표로 출원, 등록 받아 보호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 탈레반[Taleban]

    아프가니스탄의 반정부 무장정치단체. 이슬람 경전 ‘코란’을 자구대로 해석하는 극단적 보수주...

  • 통화선물[currency futures]

    선물환 거래와 마찬가지로 특정통화를 미래의 일정시점에 미리 약정된 가격으로 매입.매도하는 ...

  • 트레이드 캐릭터[trade character]

    상품이나 광고주를 인격화한 가공의 인물, 의인화한 동물, 그 밖의 미생물을 가리킨다. 소비...

  • 퇴직예고제

    종업원이 퇴직을 원할 때 일정 기간 이전에 고용주에게 퇴직 의사를 미리 통고해야 하는 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