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고용유발계수

 

10억원의 재화를 산출할 때 직·간접적으로 창출되는 고용자 수를 뜻하며 한국은행이 2005년부터 산업별로 작성 발표하고 있다. 2010년 전 산업평균 고용유발계수는 8.3명인데 이는 10억원어치의 제품이 팔릴 경우 고용이 9.5명 발생함을 의미한다. 한편, 2010년의 고용유발계수는 2005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2005년 10.1명에 비해 17.8%나 줄었다. ''취업유발계수''라고도 한다.

  • 글로벌보건안보구상[Global Health Security Agenda, GHSA]

    국제보건분야에서 국가간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창립된 국제공조체제. 에볼라, 조류독감 등 ...

  • 금지보조금[Prohibited subsidies]

    수출을 지원하거나 수입품 대신에 국산품 사용을 증진시키긴위해 주어지는 보조금을 말한다. 국...

  • 글로벌 파워도시 지수[Global Power City Index, GPCI]

    일본 모리기념재단이 도시연구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피터 홀,사스키아 사센 등의 자문을 받...

  • 기대인플레이션

    경제주체들이 예상하는 미래의 물가 상승률.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은행이 매달 전문가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