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비만세

 

살을 찌게 만드는 지방, 당분등을 사용하는 식품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 비만이 개인 건강을 해치고 사회경제적 비용을 증가시킨다는 인식에 따라 도입된 세금이다. 덴마크는 2011년 10월 세계 최초로 비만세를 도입해 2.3% 이상 포화지방이 함유된 식품에 지방 1㎏당 16크로네(3천400원 상당)을 부과했으나 식품가격의 상승과 식품가계들의 폐업이 잇따르자 도입1년만에 이를 폐지했다. 헝가리도 포화지방과 당분, 나트륨이 많이 함유된 식품과 청량음료에 개당 10포린트(55원 상당)의 부가세를 매기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비만세가 비만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한국에 도입되면 저소득층의 식품 구매력 약화와 물가 인상 등의 부정적 효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하에 비만세를 도입하지 않고 있다.

  • 뱅크러시[bank rush]

    은행의 지급 불능위험을 예상한 예측한 예금자가 예금을 인출하기 위해 쇄도하는 상태나, 예금...

  • 보호무역주의[protective trade policy]

    보호무역주의란 국가가 외국무역에 간섭하여 보호관세를 부과하여 외국 상품의 국내 수입을 억제...

  • 반덤핑 관세제도[antidumping duty system]

    외국 제품이 부당한 가격으로 싸게 팔림으로써 국내 관련산업이 타격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

  • 빈곤퇴치와 성장지원 자금[PRGF]

    임동원 대통령외교안보통일특보의 북한특사 파견을 계기로 국제통화기금(IMF)이 제공하는 "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