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자산 매각권
[asset put-option]금융기관 인수·합병(M&A) 때 인수자측에 주어지는 권리.
인수 전에 이루어진 대출이 인수 후 일정기간 내에 부실화할 경우 인수자는 이를 매각자에게 되팔 수 있어 인수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인수 단계에서는 피인수 금융기관의 속사정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하기 때문에 엄청난 부실여신을 떠안을 수도 있는데매각권이 있으면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부실자산 매각권은 피인수 금융기관과 거래했던 기업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친다. 인수자측은 매각권이 없으면 조금이라도 부실화할 가능성이있는 여신은 인수대상에서 제외하려고 할 것이다. 그러면 기업들은 대출금을 한꺼번에 상환해야 하는 부담을 안는다. 부실자산 매각권의 문제점으로는 인수자측의 도덕적 해이(moralhazard)가 지적된다. 부실채권이 발생해도 ‘매각자에게 되돌려주면 그만’이라는 생각에방치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
바이트[byte]
컴퓨터에서 정보를 처리할 때 일정한 수의 bit(보통 8비트)를 한 단위로 해 사용하는 것...
-
별정통신서비스[specific telecommunications business]
기간통신사업자의 회선설비를 임차하여 기간통신역무를 제공하거나 정보통신부령이 정하는 구내에 ...
-
부동산담보증권[MBS]
금융기관이 대출을 해주고 집을 담보로 발행하는, 만기가 20년 또는 30년에 이르는 장기채...
-
배면시트[Back Sheet]
태양전지용 셀의 보호용 필름. 외부충격 및 부식을 막아주고 불순물의 내부침투를 차단해 태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