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가격차별

[price discrimination]

같은 상품에 대해 구입자에 따라 다른 가격을 받는 행위를 말한다. 가격차별은 독점시장에서 나타나며, 경쟁시장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주변에서 찾아볼 수 있는 가격차별의 사례로는 영화관의 조조할인, 요일이나 계절에 따라 다른 비행기표 가격, 각종 할인권, 라면 10개를 사면 1개를 덤으로 주는 수량할인 등을 들 수 있다.

가격차별은 1급, 2급, 3급 가격차별로 구분된다. 1급 가격차별이란 각 단위의 재화에 대해 소비자가 지급할 용의가 있는 최대 금액인 유보가격에 해당하는 가격을 설정하는 것이다. 1급 가격차별은 ‘완전 가격차별’이라고도 한다. 2급 가격차별이란 소비자의 구입량에 따라 단위당 가격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 전기요금, 수도요금 같이 사용량이 많아질수록 점점 낮은 요금을 부과하는 경우다. 3급 가격차별이란 소비자의 특징에 따라 시장을 몇 개로 분할해 각 시장에서 서로 다른 가격을 설정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가격차별은 3급 가격차별을 의미한다.

  • 기관투자가[institutional investor]

    개인이나 법인으로 자금을 조성하여 증권시장에 투자하고 있는 법인 형태의 투자자를 말한다. ...

  • 기준공장면적률

    제조업체가 공장을 지을 때는 공장건물의 연면적을 공장부지면적의 일정비율 이상으로 지어야 한...

  • 거래량 이동평균선

    주가상승시 매입수요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므로 거래량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고 하락시는 그 반대...

  • 국세통합전산망[Tax Integrated System, TIS]

    전국민의 과세정보가 수록·관리되고 있는 국세청의 전산망. 3년간의 준비작업을 거쳐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