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대체거래시스템

[alternative trading system, ATS]

유가증권시장이나 코스닥 시장과 같은 기존 증권 거래소를 통하지 않고 별도로 주식을 사고팔 수 있는 시스템.

증권거래소와는 달리 시장 규제와 상장 기능은 없고 주식거래만 할 수 있다. 빠른 거래 체결 속도, 낮은 수수료 체계가 가장 큰 장점이다. 장외 전자거래시장, 사설 온라인 증권거래소 등도 여기에 해당된다.

ATS는 2011년 현재 세계적으로 약 120개가 운영되고 있다. 관련법을 가장 먼저 제정한 미국에 84개, 유럽에서는 20개의 ATS가 운영 중이다.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일본이 2010년 7월 ''''CHi-X 재팬''''을 설립한 데 이어 싱가포르, 호주, 홍콩 등도 출범을 준비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2022년 11월 국내 주요 증권사 및 증권 유관기관 34개사가 대체거래시스템 운영을 위한 법인 ‘넥스트레이드’를 설립했다.
이는 2013년 자본시장법상 대체거래시스템(다자간매매체결회사)의 설립 및 운영 근거가 마련된 이후 최초의 사례이다.

넥스트레이드는 2025년 1월 출벙 예정인데 이럴 경우 한국 주식시장에서 한국거래소와 거래플랫폼간 경쟁이 시작되 거래인프라와 거래기술에 변화가 초래될 것으로 보인다.

  • 대기전력[standby power]

    작동기기의 전원을 끈 상태에서 소모되는 전력으로서 가정내 총 전력사용량의 10% 이상을 차...

  • 동력집중식 열차

    동력원이 맨 앞쪽과 뒤쪽의 전동차량에만 달려 있는 열차. 동력원이 있는 두 칸의 기관차에는...

  • 대처리즘[Thatcherism]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가 영국 경제를 살리기 위해 추진했던 사회·경제 정책을 통칭하는 ...

  • 도시계획

    지역·지구·구역의 지정, 도시계획시설 설치, 도시개발사업의 결정 등 도시기본계획에서 제시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