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대체거래시스템

[alternative trading system, ATS]

유가증권시장이나 코스닥 시장과 같은 기존 증권 거래소를 통하지 않고 별도로 주식을 사고팔 수 있는 시스템.

증권거래소와는 달리 시장 규제와 상장 기능은 없고 주식거래만 할 수 있다. 빠른 거래 체결 속도, 낮은 수수료 체계가 가장 큰 장점이다. 장외 전자거래시장, 사설 온라인 증권거래소 등도 여기에 해당된다.

ATS는 2011년 현재 세계적으로 약 120개가 운영되고 있다. 관련법을 가장 먼저 제정한 미국에 84개, 유럽에서는 20개의 ATS가 운영 중이다.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일본이 2010년 7월 ''''CHi-X 재팬''''을 설립한 데 이어 싱가포르, 호주, 홍콩 등도 출범을 준비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2022년 11월 국내 주요 증권사 및 증권 유관기관 34개사가 대체거래시스템 운영을 위한 법인 ‘넥스트레이드’를 설립했다.
이는 2013년 자본시장법상 대체거래시스템(다자간매매체결회사)의 설립 및 운영 근거가 마련된 이후 최초의 사례이다.

넥스트레이드는 2025년 1월 출벙 예정인데 이럴 경우 한국 주식시장에서 한국거래소와 거래플랫폼간 경쟁이 시작되 거래인프라와 거래기술에 변화가 초래될 것으로 보인다.

  • 동화상재생보드[moving picture image coding experts group board]

    직경 12cm, 무게 15g CD 한 장에 총 74분간의 영화, 뮤직비디오 등을 담은 비디...

  •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LED같은 디스플레이를 이용해 정보나 광고를 수시로 바꿀 수 있는 광고 플랫폼. '디지털 ...

  • 디즈니플러스[Disney+]

    월트 디즈니의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서비스. 2019년 11월 12일 미국, 캐나다,...

  • 디지로그[digilog]

    디지털(Digital) 기기에 아날로그(Analog)의 합성어로 디지털 기술과 아날로그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