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순응성
[procyclicality]금융시스템이 경기변동을 증폭시킴으로써 금융불안을 초래하는 금융과 실물 간 상호작용 메커니즘을 의미한다. 경기 상승기에는 자산가격 상승, 위험선호도 증가에 은행 대출이 증가하면서 잠재 금융부실이 확대된다. 반면 경기 하강기에는 실물활동 위축, 자산가치 하락, 위험회피 성향으로 은행 대출이 급감하면서 금융부실이 가시화된다. 경기순응성은 국제간 자본 흐름에도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로 인해 선진국 자본 유출입이 신흥국 경기변동을 증폭시키는 현상이 발생된다. 급격한 자본 유입은 신흥국의 통화 팽창, 자산가격 상승 등의 부작용을 초래하다 자본 유출로 돌변할 경우 주가 급락, 환율 급등 등으로 거시경제 변동성이 증폭되는 것은 널리 알려진 정형화된 사실이다.
-
골드 칼라[gold collar]
두뇌와 정보로 새로운 가치를 창조해 이끌어 가는 인재들을 일컫는다. 이들은 자발성과 창의성...
-
고교-대학 연계 심화과정[University-level Program, UP]
고교생들에게 대학수준의 이공계 과목(수학·물리·화학·생물)을 가르친 뒤 그 결과를 대학입학...
-
고온초전도케이블
전력케이블에 구리 대신 일정온도 이하에서 전기저항이 완전이 사라져 손실없이 전류를 흘려줄 ...
-
그린벨트 관리계획
그린벨트 구역조정 이후 존치되는 개발제한구역을 보다 종합적이고 친환경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