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결정적 환율
시장결정적(market determined) 환율이란 환율 분쟁의 해법으로 2010년 10월 23일 경주 재무장관 회의 때 코뮈니케(공동선언)에 포함된 문구다. 2010년 6월 토론토 정상회의에서는 ''환율 결정을 시장에 맡겨야 한다''는 뜻에서 ''시장 지향적 환율''이란 용어를 썼는데, 경주 회의에서는 한 단계 더 나아가 ''정부의 환율시장 개입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시장 결정적 환율''로 표현을 바꿨다.
하지만 이에 대한 해석을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합의문에 나온 ''경제 펀더멘털을 반영한 시장 결정적 환율''이란 표현을 근거로 환율이 단기 수급에 의해 펀더멘털과 무관하게 급변동할 때는 정부가 적극 개입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인위적으로 환율을 조작하지 않아야 하지만 과도하게 움직이는 것에 대해서는 정부가 적절하게 개입할 수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해석이다.
-
선행의 역설[Kind act''s paradox]
선행의 목적으로 행동한 것이 도리어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는 것을 말한다. 이를테면 기부...
-
상향여과
주변여건이 미흡했던 지역이 새롭게 개발되면서 부유층이 유입돼 부촌으로 새롭게 거듭나는 현상...
-
신재생에너지포인트[Renewable Energy Point, REP]
신재생에너지 생산인증서의 발급 및 거래단위로서 생산인증서 발급대상 설비에서 생산된 MWh...
-
산업용품[industrial goods]
제품이나 서비스의 생산에 필요하기 때문에 구입하는 제품이나용역.중기계, 원재료, 타자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