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성향지수
[Risk Appetite Index]금융시장의 위험도를 가늠할 수 있는 지수로 개별 상품의 리스크 프리미엄(투자자가 위험 부담을 감수하는 데 따른 수익)을 기초로 산정된다. 리스크에 따른 상품 및 거래의 수익률 변화를 통해 투자자들의 움직임도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지수의 기초 대상이 되는 상품은 주식·채권·외환·파생상품·현물시장을 총망라한다. 한국거래소의 변동성지수(VKOSPI)와 코스피200지수 선물·옵션을 비롯해 각종 채권의 수익률, 원·달러 환율, 금리·통화 스와프, 국제 금 시세 등 15가지 정도의 지표를 포함한다. 안전자산인 국고채에 투자자가 몰려 국고채 수익률이 떨어지면 위험성향지수가 낮아지는 반면, 위험자산인 코스피200지수옵션 투자가 늘어나면 지수가 올라가게 된다.
-
워라밸 세대[Generation Work-Life-Balance]
일과 자기 자신, 여가, 자기성장 사이의 균형을 추구하며, 칼퇴근과 사생활을 중시하고 취직...
-
인터넷닷오알지 프로젝트[internet.org project]
세계 모든 지역을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프로젝트로 페이스북이 2013년 발표했다. 이...
-
아메카지룩
아메리칸 캐주얼을 일본식으로 줄여 부르는 말. 미국의 워크웨어(작업복)가 일본의 복고풍 패...
-
임금의 하방경직성[downward rigidity]
한 번 올라간 임금이 다시 떨어지지 않는 속성을 말한다. 임금은 기본적으로 노동의 수요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