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위험성향지수

[Risk Appetite Index]

금융시장의 위험도를 가늠할 수 있는 지수로 개별 상품의 리스크 프리미엄(투자자가 위험 부담을 감수하는 데 따른 수익)을 기초로 산정된다. 리스크에 따른 상품 및 거래의 수익률 변화를 통해 투자자들의 움직임도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지수의 기초 대상이 되는 상품은 주식·채권·외환·파생상품·현물시장을 총망라한다. 한국거래소변동성지수(VKOSPI)와 코스피200지수 선물·옵션을 비롯해 각종 채권의 수익률, 원·달러 환율, 금리·통화 스와프, 국제 금 시세 등 15가지 정도의 지표를 포함한다. 안전자산인 국고채에 투자자가 몰려 국고채 수익률이 떨어지면 위험성향지수가 낮아지는 반면, 위험자산인 코스피200지수옵션 투자가 늘어나면 지수가 올라가게 된다.

  • 일방향 항공 자유화

    서로 다른 국가 또는 지역을 연결할 때 어느 한쪽만 항공 노선을 자유롭게 개설할 수 있도록...

  • 액티브 ETF[active ETF]

    성장주를 적극적으로 공략해 패시브형 ETF보다 초과수익을 얻도록 설계된 ETF. ET...

  • 요람에서 무덤까지[from the cradle to the grave]

    영국의 경제학자 윌리엄 베버리지가 1942년 주창한 법안의 내용으로 현대 영국 사회보장제도...

  • 유텔샛원웹[Eutelsat OneWeb]

    유텔샛원웹(Eutelsat OneWeb) 은 프랑스의 위성통신 기업 유텔샛(Eutels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