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벌처펀드

[vulture fund]

부실한 자산을 저가에 인수해 상황이 호전된 후 고가로 되팔아 차익을 내는 기금 또는 회사를 의미한다. 사모펀드(PEF)형태로 바이아웃펀드 (buyout fund)의 일종이다. 벌처는 동물의 시체를 먹고 사는 대머리독수리를 뜻한다. 냉혹하지만 생태계를 유지해주는 순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벌처펀드란 이름도 이래서붙였다. 투자대상도 일시적으로 어려움에 빠진 기업의 자산이나 경영권, 부동산, 기업이나 국가의 부실채권 등 매우 다양하다. 기업의 경우 인원정리, 부동산매각, 유상증자 등의 구조조정을 통해 자산구조를 개선한 후 다시 매각한다. 투자형태별로 경영권인수형, 증권투자형, 자산인수형 등으로 구분된다. 우리나라에서는 기업구조조정 전문회사 (CRC)라고하고 1999년도에 도입됐다.

  • 분쟁광물[conflict minerals]

    콩고공화국 등 아프리카 분쟁지역 10개국에서 생산되는 주석, 탄탈, 텅스텐, 금 등 4가지...

  • 복리후생비[other employee benefit]

    복리후생비는 판매와 관리부문에 종사하는 종업원의복리 및 후생을 위하여 사용된 비용으로서 법...

  • 보이드계수[void coefficient]

    물을 냉각재와 감속재로 겸하는 원자로에서는 냉각재로서 물이 끓을 때 기포가 생기고 이에 따...

  • 부동산 중개수수료

    공인중개사나 중개인에게 지불하는 수수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