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권
유가증권이나 건물 등의 물건에 관해 받을 돈이 있는 사람이 돈을 받을 때까지 물건을 점유하고 타인에게 내주지 않을 수 있는 권리다. 경매를 통해 낙찰을 받았더라도 유치권을 가진 사람이 있을 경우 빚을 대신 갚아줄 수밖에 없다. 등기부에 기록되지 않아 입찰 전 권리분석을 꼼꼼하게 해야 한다. 허위로 유치권을 주장하는 사례도 많아 법적 분쟁을 양산한다는 지적을 받아온 부동산 유치권이 폐지될 전망이다.
2010년 10월 법무부는 유치권을 행사할 수 있는 대상에서 부동산을 원칙적으로 제외하고 다만 미등기 부동산에 대해선 저당권을 설정할 때까지 한시적으로 유치권을 인정해 주기로 했다.
-
욜로[You only live once!, YOLO]
인생은 한 번뿐이니 후회 없이 이 순간을 즐기며 살 것. 한 래퍼의 노래 구절에 등장한 ‘...
-
임대형 민간투자사업[Build-Transfer-Lease, BTL]
·민간 투자자가 공공시설등을 지어 (build) 완공후 소유권을 정부에 이전 (transf...
-
이동평균수렴·확산지수[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 MACD]
수익폭이 줄어 드는 이동평균성의 후행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79년 Gerald App...
-
음성재판매[voice resale]
한국통신이나 데이콤 같은 전화회사로부터 대용량 광케이블을 도매로 빌려 소매로 시내외 전화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