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유치권

 

유가증권이나 건물 등의 물건에 관해 받을 돈이 있는 사람이 돈을 받을 때까지 물건을 점유하고 타인에게 내주지 않을 수 있는 권리다. 경매를 통해 낙찰을 받았더라도 유치권을 가진 사람이 있을 경우 빚을 대신 갚아줄 수밖에 없다. 등기부에 기록되지 않아 입찰 전 권리분석을 꼼꼼하게 해야 한다. 허위로 유치권을 주장하는 사례도 많아 법적 분쟁을 양산한다는 지적을 받아온 부동산 유치권이 폐지될 전망이다.

2010년 10월 법무부는 유치권을 행사할 수 있는 대상에서 부동산을 원칙적으로 제외하고 다만 미등기 부동산에 대해선 저당권을 설정할 때까지 한시적으로 유치권을 인정해 주기로 했다.

  • 업무상재해

    근로자가 업무의 수행 또는 그에 수반되는 통상적인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입게되는 부상·질병...

  • 역플라자합의[anti-Plaza agreements]

    1995년 4월 G7경제장관, 중앙은행총재 회의에서 엔저를 유도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 이...

  • 알파라이징 산업[alpharising]

    현존하는 제품이나 업종과 완전히 다른 분야라는 점에서 '알파(alpha)'가, 위기 이후 ...

  • 유전체[genome]

    한 생물이 가지는 모든 유전 정보를 말한다.독일 함부르크대학의 식물학자 윙클러(H. W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