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배당부상품

 

보험에 가입한 후 이익이 생기면 계약자에게 배당을 하는 상품이다. 연금, 양로보험 등 대부분의 저축성 보험이 여기에 해당된다. 무배당보험상품과 대비된다. 우리나라 생명보험회사들의 상품판매 비중을 보면 80∼90%가 배당부상품이다. 배당금은 사차익, 이차익, 비차익에 의해 정해진다. 사차익은 예정사망률을 정해 생명보험을 팔았는데 실제 사망률이 예정보다 낮아 생기는 이익이다. 이차익은 보험사가 자산을 운용해서 예정보다 높은 수익을 올렸을 때 생기는 차익이고 비차익은 당초 예상보다 사업비를 절약하여 발생하는 이익이다.

  • 변제[discharge]

    계약이나 채무의 의무를 이행하는 것으로 법률적 의무가 사라지는 방법.

  • 반도체 자동이송시스템[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 AMHS]

    반도체 제조라인에서 회로판을 적재한 회로판 저장용기(FOUP, Front Opening U...

  •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는 휴대용 장치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 기술, 표준, 제품을 총칭하는...

  • 복수노조

    노동조합이 분열해 탈퇴자가 노조를 결성하거나 또는 비노조원이 별도의 노조를 결성할 경우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