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타임 오프제

[time-off]

노조 전임자의 필수적인 노조 활동을 근무시간으로 간주해 회사 측이 임금을 지급하는 제도다. 타임오프 인정시간은 노조 규모에 비례해 한도가 정해지며 한도를 넘겨 임금을 지급하면 불법이다.

2009년 말 노사정 합의로 도입돼 2010년 7월1일부터 시행됐다.

2013년 정해진 현행 기준은 조합원 수에 따라 연간 2000(근로자 99명 사업장)~3만6000시간(1만5000명 이상 사업장)까지 허용하고 있다. 연간 2000시간은 주40시간 풀타임 근로자 1명에 해당한다.

근무시간으로 인정되는 노조 활동은 근로자 고충처리,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활동, 단체교섭 준비 및 체결에 관한 활동 등이다. `근로시간면제''라고도 부른다.

관련어

  •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

    유리처럼 투명한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사형 디스플레이와 투과형 디스플레이...

  • 팀빌딩[team building, TB]

    각 개인의 능력은 탁월한데 집단이 힘을 발휘하지 못할 경우 집단의 병을 찾아 치료하는 신 ...

  • 투표의 역설[voting paradox]

    다수결 투표를 통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투표 순서 등에 의해 결과가 바뀌면서 일관성을 잃는 ...

  • 투자중개업[brokerage]

    금융회사(증권사)가 타인의 재산으로 금융투자상품에 투자하거나, 증권의 발행, 인수, 청약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