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시장개입

 

외환시장이 불안해 환율이 급등락할 경우 이를 안정시키기 위해 중앙은행이 외환보유액이나 외국환평형기금의 자금을 동원해 시장에 달러를 내다 팔거나 사들이는 것을 말한다.

시장환율이 너무 급격히 오를 때(원화가치가 떨어질 때)는 환율을 떨어뜨리기 위해 가지고 있는 달러를 시장에 내다판다. 물론 이때 당시의 환율보다 낮은 수준으로 팔겠다고 내놓게 된다. 그래야 환율이 떨어지는 효과를 거두기 때문이다. 환율이 너무 급히 떨어질 때(원화가치가 급히 올라갈 때)는 반대로 달러를 높은 값에 사들이게 된다. 그러면 달러값이 올라가 환율이 올라가게 된다.

흔히 구두개입이란 말도 가끔 듣게 되는 데 이는 실제 달러를 내다 팔거나 사들이지않으면서 정부나 중앙은행이 말로만 달러를 사들이겠다거나 내다팔겠다고 으름장을 놓는 것을 말한다. 공개적으로 그런 말을 하면 시장에서 일시적으로 환율안정효과가 나타나지만 오래가지는 않는다.

  • 스크루드라이브 조업[screwdriver work]

    단지 드라이버 한 개로 조립하여 완성품을 만들어내는 조업방식 또는 이러한 방식을 취하고 있...

  • 스팸관여 과다 종목

    한국인터넷진흥원에 신고된 영리 목적 광고성 정보의 신고 건수와, 주가, 거래량이 일정 기준...

  • 실도로 주행 배출가스측정[real driving emission, RDE]

    디젤차에 측정 장치를 장착해 실제 도로를 달리면서 급가속·제동, 언덕 주행, 에어컨 가동,...

  • 신지식인

    이론적 지식뿐만 아니라 문제해결에 필요한 노하우를 체득하고 지식의 창출과 활용에 필요한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