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은행채

 

은행이 발행하는 채권이다. 특별법에 의해 특정 금융기관이 장기 자금을 마련할 목적으로 발행한다. 은행채를 발행하는 주체를 채권 발행은행이라고 한다. 은행들은 장단기 자금이 모두 필요한데 단기 자금은 주로 예금을 통해서 조달하며 은행채는 장기자금을 흡수하는 수단으로 이용된다는 점에서 예금과 차이가 난다. 은행채의 상환 방법은 상환시기가 미리 정해져 있는 것, 매입매각에 의해 수시로 상환되는 것, 혹은 추첨에 의해 기한 전에 상환되는 것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무기명채권으로 발행되는 것이 보통이다. 한국산업은행이 발행하는 산업금융채권, 국민은행이 발행하는 국민주택채권 등의 은행채가 있는데, 이자율은 일반예금에 비하여 매우 높다.

  • 일함수[work function]

    전극에서 전자 하나를 외부로 끌어내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작업량이나 에너지

  • 유통통화[currency in circulation]

    경제에서 유통중인 지폐와 동전. 유통 중인 총통화의 일부로 계산된다. 총통화는 은행에서의 ...

  • 역골디락스

    경제 성장은 낮은 반면 고물가가 지속되는 현상. 물가안정을 바탕으로 한 고성장 경제현상인 ...

  • 에너지 자립도

    국내에서 소비하는 에너지 총량에 대하여 신·재생에너지 등 국내 생산에너지량 및 우리나라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