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은행채

 

은행이 발행하는 채권이다. 특별법에 의해 특정 금융기관이 장기 자금을 마련할 목적으로 발행한다. 은행채를 발행하는 주체를 채권 발행은행이라고 한다. 은행들은 장단기 자금이 모두 필요한데 단기 자금은 주로 예금을 통해서 조달하며 은행채는 장기자금을 흡수하는 수단으로 이용된다는 점에서 예금과 차이가 난다. 은행채의 상환 방법은 상환시기가 미리 정해져 있는 것, 매입매각에 의해 수시로 상환되는 것, 혹은 추첨에 의해 기한 전에 상환되는 것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무기명채권으로 발행되는 것이 보통이다. 한국산업은행이 발행하는 산업금융채권, 국민은행이 발행하는 국민주택채권 등의 은행채가 있는데, 이자율은 일반예금에 비하여 매우 높다.

  • 워싱턴협정[Washington Accord]

    미국 등 선진국 공학교육 인증기관들이 공학계열 졸업자의 학력을 상호 인정하기 위해 맺은 협...

  • 액면병합[reverse stock split]

    액면가액을 줄여 주식수를 늘리는 액면분할과는 정반대로 액면가액이 적은 주식을 합쳐서 액면가...

  • 예대율[loan to deposit ratio]

    대출금을 예수금으로 나눈 비율 또는 예금잔액에 대한 대출금잔액의 비율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 일괄적 관세[blanket tariff]

    개별 제품이 아니라 특정 국가의 전제품이나 특정 산업의 수입품 전부에 대해 관세를 매기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