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사업조정제도

 

대기업이 기존 중소기업이 영위하고 있는 사업을 인수·개시·확장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경영에 나쁜 영향을 미치거나 미칠 우려 있는 경우에 그 조정을 신청하는 제도. 2006년 12월 고유업종제도 폐지후 대기업으로부터 중소기업의 사업영역을 보호하기 위해 도입됐다.

중소기업중앙회에 사업 조정을 신청하면 중앙회가 사실 조사를 벌인 뒤 30일 내 의견서를 중소기업청에 제출하고, 중기청은 90일 이내에 대기업에 사업장의 인수·개시·확장 시기를 최장 6년까지 연기하거나 생산품목·수량·시설 등을 축소하는 것을 권고할 수 있다. 이 권고를 어길 경우 5000만원 벌금형이나 1년 이하 징역형에 처해진다.

  • 스니커테크[sneaker tech]

    스니커즈와 재테크를 결합한 신조어. 한정판 운동화를 구입해 비싼 가격에 되팔아 수익을 얻는...

  • 성과지표의 순차적 세분화[Cascading]

    사업본부의 성과지표를 하위 팀 단위로, 다시 이를 개인 단위로 분해해 나가는 과정을 의미한...

  • 상대소득가설[relative income hypothesis]

    소비가 현재 소득뿐만 아니라 타인의 소득이나 과거 소득 등 상대 소득에 영향을 받는다는 이...

  • 소득이동통계

    소득이동통계는 개인의 소득계층 이동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서, 통계청이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