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의약품
[Over-the-counter drugg, non-prescription medicine, OTC drugs]안전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의사의 처방전 없이 약국이 아닌 일반 소매점에서도 팔 수 있도록 허용된 약을 일컫는다. 미국, 영국, 독일 등은 일반 상점에서 감기약, 소화제, 진통제, 해열제 등의 판매를 허용하고 있다. 미국은 10만개정도의 일반의약품을 대형마트와 편의점에서 판매하고 있으며 일본은 1998년 4월부터 일부 일반약(드링크제 비타민제 등 15개 품목)의 소매점 판매를 허용한 데 이어 2004년 7월 안전상의 문제가 없다고 판단한 소화제와 정장제 등 371품목의 판매를 추가로 허가했다.
한국은 자양강장제·비타민·위생용품·외용소독제 등의 "의약외품"만을 슈퍼마켓에서 판매하도록 허용했었으나 2012년 5월 약사법을 개정하여 2012년11월15일부터 해열진통제, 감기약, 소화제, 파스 등 13개 품목의 안전상비의약품의 약국 외 판매(24시편의점, 특수지역, 보건진료소)를 허용하고 있다. 이는 약국이 문을 닫는 공휴일·야간에 의약품 구입 불편을 해소(심야, 휴일시간)하기 위한 것이다.
관련어
- 참조어전문의약품
-
원격의료[Tele-medicine]
환자가 직접 병·의원을 방문하지 않고 통신망이 연결된 모니터 등 의료장비를 통해 의사의 진...
-
온트루잔트
다국적 제약사 로슈의 유방암 치료제인 허셉틴의 바이오 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로 삼성바...
-
외국채
외국 자본 시장에서 비거주자가 해당국의 통화로 발행하는 채권을 말한다. 발행하는 국가에 따...
-
위안화 적격외국인투자자[RMB Qualified Foreign Institutional Investors, RQFII]
중국 정부가 국가별로 할당한 금액의 범위 내에서 해당국 금융회사들이 자체적으로 조달한 위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