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토지거래허가구역

 

땅 투기방지를 위해 지가가 급격히 상승하거나 할 우려가 있는 지역 중 국토교통부장관, 서울특별시장이 지정하는 지역. 기간은 5년 이내이다.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면 실수요자 외에는 일정 규모 이상 토지를 살 수 없다.

용도별로 2~5년간 허가 목적대로 사용해야 하는 의무도 생긴다 (농업용 2년, 임업용 3년, 주거용 3년, 개발용 4년, 기타 5년).

이구역에서는 도시지역내 에서 주거지역은 180㎡, 상업지역은 200㎡, 공업지역은 660㎡, 녹지지역은 100㎡를 초과해서 거래할 경우, 국토교통부장이나 시·도지사 허가를 받아야 한다.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는다는 것은 매입한 뒤 바로 거주해야 해 고가 전세보증금을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를 원천 금지한다는 뜻이다.

  • 태업

    ① 사보타주(sabotage) : 기업의 경영이나 전시의 국가에 대해 반대하는 사람들이 공...

  • 트럼프노믹스

    미국 대통령 트럼프가 추진하고 있는 있는 경제 정책. 트럼프(Trump)와 경제학(econ...

  • 통화지표

    통화지표는 통화의 총량을 가늠하는 잣대라고 할 수 있다. 즉, 통화지표는 통화의 크기와 변...

  • 투자풀

    다수의 소액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한 바구니(pool)에 넣고, 이를 하위 운용사들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