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투자권유대행인

 

금융투자회사로부터 위탁을 받아 투자자에게 투자권유를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2009년 2월 자본통합법의 시행으로 투자자가 금융투자회사의 영업점을 방문하지 않아도 금융투자상품을 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입됐다. 자격은 펀드투자상담사 및 증권투자상담사 등 전문자격시험에 합격한 후 정규 교육과정 이수를 통해 금융투자회사와 계약을 맺어야 주어진다. 판매수익의 일정부분을 보수로 지급받으며 여러 금융투자회사를 대행할 수 없다.

  • 트레이드 드레스[trade dress]

    상품의 외관이나 포장, 서비스 제공 장소의 독특한 인테리어나 전체적인 외관의 이미지를 말한...

  • 텐더빌[tender bill]

    텐더빌이란 재정적자를 보전하기 위해 영란은행이 재무부 명의로 할인 발행하는 재무부 증권(t...

  • 퇴선 명령

    퇴선은 선박이 더 이상 항해를 할 수 없는 상황에 빠졌거나 선박이 위험에 처해 이른바 배를...

  • 트레이드 마크[trademark]

    한 제조업자의 재화와 타제조업자의 재화를 구별시켜 주는 기장 또는 로고. 자기가 만든 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