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예상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국채 금리 등을 이용해 산출하는 장래의 물가 수준에 대한 예측치다. 한 나라의 경제성장률 예상치를 반영하는 10년 만기 국채 금리(실질 이자율+기대 인플레이션율)에서 물가 수준이 반영된 물가연동 국채 금리(실질 이자율)를 빼 계산한다. 이것이 플러스(+)이면 그만큼 물가가 오르고 마이너스(-)이면 디플레이션이 된다.

  • 역골디락스

    경제 성장은 낮은 반면 고물가가 지속되는 현상. 물가안정을 바탕으로 한 고성장 경제현상인 ...

  • 안전도 라벨링제

    자동차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현재 신차에 적용 중인 평가항목을 충돌분야 5개 항목에서 8...

  • 일시금

    연금이나 보험 등에서 일정 기간 동안 납입한 금액을 만기 시에 한 번에 돌려받는 것을 뜻한...

  • 아랍석유수출국기구[Organization of Arab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 OAPEC]

    아랍 산유국들이 석유자원관리와 유가조절 등을 위해 1968년에 설립한 단체. 한편 OP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