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외화예금

[foreign exchange deposit]

우리나라 사람이나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달러,엔 등 외화로 맡겨놓는 예금이다. 요즘처럼 환율이 급등할 때는 외화예금을 들어두면 이자수익 뿐 아니라 환율상승에 따른 이익을 볼 수 있다. 가령 외화정기예금의 경우 이율은 연 4.8%대(3개월만기)이지만 환율이 달러당 25원만 상승해도 이자수익과 환차익을 합쳐 연8.0%의 수익율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해외에 정기적으로 송금해야 하는 유학생 부모들은 거주자 외화예금에 가입해 두는게 좋다. 그렇다고 너무 많은 돈을 외화예금에 넣어 두어도 바람직하지 않다. 환율이 떨어지면 그만큼 손해를 보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1년 동안 보낼 돈의 50% 정도만 달러화로 바꿔 외화예금에 넣어두는 것이 안전하다고 충고한다.

  • 엠본[multicast bone, M bone]

    실시간 데이터 전송기술의 하나로, 화상회의나 원격교육 등의 분야에서 주로 활용된다. ‘엠본...

  • 액티브 ETF[active ETF]

    성장주를 적극적으로 공략해 패시브형 ETF보다 초과수익을 얻도록 설계된 ETF. ET...

  • 웨보노믹스

    인터넷 칼럼니스트 에번 슈워츠가 ‘월드 와이드 웹’(www)의 약어인 웹(web)과 경제학...

  • 옴부즈맨제[Ombudsman]

    ‘행정감찰관’ 또는 ‘호민관’ 제도로 불린다. 국민의 권리가 행정부, 사법부 등 정부기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