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외화예금

[foreign exchange deposit]

우리나라 사람이나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달러,엔 등 외화로 맡겨놓는 예금이다. 요즘처럼 환율이 급등할 때는 외화예금을 들어두면 이자수익 뿐 아니라 환율상승에 따른 이익을 볼 수 있다. 가령 외화정기예금의 경우 이율은 연 4.8%대(3개월만기)이지만 환율이 달러당 25원만 상승해도 이자수익과 환차익을 합쳐 연8.0%의 수익율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해외에 정기적으로 송금해야 하는 유학생 부모들은 거주자 외화예금에 가입해 두는게 좋다. 그렇다고 너무 많은 돈을 외화예금에 넣어 두어도 바람직하지 않다. 환율이 떨어지면 그만큼 손해를 보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1년 동안 보낼 돈의 50% 정도만 달러화로 바꿔 외화예금에 넣어두는 것이 안전하다고 충고한다.

  • 이란식 핵해법

    단계적으로 비핵화하는 대가로 단계적으로 보상하는 방식이다. 미국 등 주요 6개국은 이란 ...

  • 아지트로마이신[azithromycin]

    세균 감염을 치료하는 항생제이다.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로서 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저해...

  • 아동수당

    아동양육에 따른 경제적부담을 줄이고 아동의 기본적 권리와 복지증진을 위해 도입한 제도. 미...

  • 이익잉여금[earned surplus]

    회사 이익의 누적액을 말한다. 이익잉여금은 배당 등의 재원이 되는데, 배당이 없다고 가정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