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외화예금

[foreign exchange deposit]

우리나라 사람이나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달러,엔 등 외화로 맡겨놓는 예금이다. 요즘처럼 환율이 급등할 때는 외화예금을 들어두면 이자수익 뿐 아니라 환율상승에 따른 이익을 볼 수 있다. 가령 외화정기예금의 경우 이율은 연 4.8%대(3개월만기)이지만 환율이 달러당 25원만 상승해도 이자수익과 환차익을 합쳐 연8.0%의 수익율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해외에 정기적으로 송금해야 하는 유학생 부모들은 거주자 외화예금에 가입해 두는게 좋다. 그렇다고 너무 많은 돈을 외화예금에 넣어 두어도 바람직하지 않다. 환율이 떨어지면 그만큼 손해를 보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1년 동안 보낼 돈의 50% 정도만 달러화로 바꿔 외화예금에 넣어두는 것이 안전하다고 충고한다.

  • 안정성 비율[stability ratios]

    기업의 장기지급능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비율로 레버리지 비율(leverage ratios...

  •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continuously variable valve duration, CVVD]

    CVVD기술은 엔진 밸브가 열리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현대기아...

  • 에어로겔[aerogel]

    공기를 의미하는 ''aero''와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는 ''gel''의 합성어....

  • 열폭주[thermal runaway]

    열폭주는 배터리 내부의 온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아지면서, 배터리 안에서 자체 발열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