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기본자본비율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은행의 자기자본을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눈 백분율''이다. 이때 자기자본은 ''기본자본(Tier 1)''과 ''보완자본(Tier 2)''의 합계액이다. 기본자본은 자본금 내부유보금 등 실질순자산으로 영구적 성격을 지닌 반면 ''보완자본''은 후순위채권 하이브리드채권 등 부채 성격을 지닌 자본을 말한다. 보완자본을 뺀 기본자본을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눠 산출한 지표가 바로 기본자본비율이다. 통상 자기자본비율은 10% 이상,기본자본비율은 8% 이상이면 우량은행으로 평가된다.

  • 개구리밥[duckweed, Wolfia]

    연못이나 논 등 물 위에 떠서 사는 부유성 수생식물. 부평초라고도 불린다. 개구리가 사는 ...

  • 금융시장[financial market]

    자금 공급자와 자금 수요자가 모여서 금융거래를 형성시키는 시장을 말하며 화폐시장이라고도 한...

  • 국제항공운송협회[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IATA]

    전세계 1백20개국 3백여 항공사가 참여하는 민간기구로 흔히 ‘항공업계의 유엔’으로 불린다...

  • 국민순생산[Net National Product, NNP]

    국민순생산은 국민총생산에서 공장이나 기계 등 설비의 감모분, 즉 고정자본소모를 차감한 것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