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기관화 현상

 

증권시장에서 기관투자가의 영향이 막대해지는 것을 말한다. 특히 1960년대 이후 미국의 자본시장에서 현저하게 나타난 현상으로 최근들어 국내시장에서도 기관투자가의 주식소유 비중이 1986년 20%에서 1993년에는 30%대로 증가하는 등 기관화 현상이 급속하게 진전되고 있다. 선진국의 경우 기관거래 비중은 보통 40%를 넘어선다.

기관화 현상의 결과로 기관투자가가 선호하는 주식들이 시장을 선도하는 한편, 소외종목군과의 주가 차별화가 심해지는 등 주식시장의 양극화 현상이 초래된다.

  • 금속-절연체 전이[metal-insulator transition, MIT]

    전기가 흐르지 않는 부도체가 금속으로, 혹은 금속이 부도체로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 권리분석

    입찰하는 부동산의 권리 상태를 파악하는 작업을 뜻한다. 소유권 이전과 함께 따라오는 임대보...

  • 거액신용공여 한도제

    은행이 특정 기업이나 계열 기업군에 지나치게 많은 돈을 빌려주는 것을 막기 위한 제도. 원...

  • 교통사고 누락보험금

    교통사고 피해자가 약관상의 보험금 지급기준을 잘 알지 못한다는 이유로 손해보험사가 고의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