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기관화 현상

 

증권시장에서 기관투자가의 영향이 막대해지는 것을 말한다. 특히 1960년대 이후 미국의 자본시장에서 현저하게 나타난 현상으로 최근들어 국내시장에서도 기관투자가의 주식소유 비중이 1986년 20%에서 1993년에는 30%대로 증가하는 등 기관화 현상이 급속하게 진전되고 있다. 선진국의 경우 기관거래 비중은 보통 40%를 넘어선다.

기관화 현상의 결과로 기관투자가가 선호하는 주식들이 시장을 선도하는 한편, 소외종목군과의 주가 차별화가 심해지는 등 주식시장의 양극화 현상이 초래된다.

  • 계속기업의 가정[going-concern assumption]

    기업이 경영활동을 청산 또는 중단할 의도가 있거나, 경영활동을 계속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인...

  • 경제정책[economic policy]

    정부가 특정한 목표 달성을 위해 국민경제의 전체 또는 일부의 활동에 영향을 끼치려는 행위를...

  • 고속 하향 패킷 접속[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초고속 데이터 전송기술의 하나. 4G(세대) 이전 단계의 멀티미디어 기술. 초당 다운로드 ...

  • 글로벌 불균형[global Imbalance]

    중국, 한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들과 중동 산유국들이 미국과의 무역에서 대규모 흑자를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