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대형 강입자가속기

[Large Hadron Collider, LHC]

입자를 거의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시켜 맞부딪히는 물리학 실험장치. 유럽입자물리연구소 (CERN)가 총 100억 달러를 들여 스위스 제네바와 프랑스 국경지대 지하 100m에 총 길이 27㎞의 강입자가속기를 건설해 2010년초부터 가동을 시작했다. LHC의 목표는 인류가 입자 중에서 유일하게 확인하지 못한 힉스(Higgs Boson)를 찾는 것. 힉스는 물체에 질량을 주는 입자로 우주가 탄생하던 빅뱅 당시에는 입자로 존재했지만 지금은 물질 속에 숨겨져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국제연구진으로 구성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는 스위스와 프랑스 국경 지대에 길이 27㎞의 거대 강입자가속기(LHC)를 구축하고 초미니 ‘빅뱅’을 일으키는 실험을 거듭해 2013년 3월 힉스입자의 존재를 입증했다.

관련어

  • 닻내림 효과[anchoring effect]

    배가 어느 지점에 닻(anchor)을 내리면 그 지점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근처를 맴도...

  • 독점적 경쟁

    다수의 공급자가 매우 비슷한 상품을 공급하고 있는 시장을 말한다. 독점적 경쟁시장의 생산자...

  • 다단계판매[multi-level marketing, MLM]

    다단계판매는 무점포 판매의 한 형태로 판매업체에서 최종소비자에 이를 때까지 여러 단계를 거...

  • 데이터 거래소

    다양한 산업분야의 데이터를 수집 가공한 공급자와 데이터 수요자가 만나 데이터를 사고 파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