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몬트리올 의정서

 

지구의 오존층을 보호하기 위해 CFC, 할론 등 오존층 파괴물질의 사용을 제한한 국제환경협약을 말한다. 1985년 3월 ‘오존층 보호에 관한 빈 협약’이 이루어지고 1987년 9월 몬트리올 의정서가 정식으로 채택되어 1989년 1월부터 발효됐다. 몬트리올 의정서 가입국은 CFC 등 규제물질을 1986년 사용량을 기준으로 1995년부터 단계적으로 줄여나가 2000년에는 전면 사용을 중지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1992년 2월에 가입하였고 1995년 3월 2일부터 염화불화탄소(HCFC), 브롬화불화탄화수소(HBFC), 브롬화메틸 등을 새로이 규제대상에 포함시킨 ‘오존층 파괴물질에 관한 몬트리올 의정서 개정서’가 적용됐다. 개정안에 따르면 자동차, 에어컨, 냉장고 등의 냉매로 쓰이는 HCFC는 1996년부터 단계적인 소비감축을 거쳐 2030년 이전에 사용을 중단해야 하며 소화제인 HBFC는 1996년부터 전면 사용이 금지됐다.

  • 무역자동화[trade automation]

    무역자동화란 서류작성과 전달을 통해 무역업무를 처리하는 대신 서류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

  • 메디케어[Medicare]

    미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노인의료보험제도. 사회보장세를 20년 이상 납부한 65세 이상 노인...

  • 매출액순이익률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적을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는 재무비율 분석의 하나. 매출액순이익률...

  • 마케팅 조사[marketing research]

    생산자에서 소비자로의 재화 또는 용역의 이동에 관한 정보의 수집과 분석. 마케팅 조사는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