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시뇨리지

[seigniorage]

화폐에 대한 독점적 발권력을 갖는 중앙은행이나 국가가 화폐 발행을 통해 획득하는 이득을 의미한다.

한국은행의 ‘경제 용어 700선’에서는 시뇨리지에 대한 예를 이렇게 설명한다. “금속 화폐 시대에는 절대군주가 금은 등을 소재로 화폐를 제조해 유통하는 과정에서 화폐를 생산 비용보다 높은 액면 가치에 유통시킴으로써 시뇨리지가 발생했다.”

한편 명목 화폐 등장 이후에는 중앙은행이 화폐 태환력을 보장하기 위해 화폐 발행액을 부채로 인식하게 됐다. 이에 따라 화폐 시뇨리지는 수익으로 간주하지 않고 화폐 발행을 통해 취득한 유가증권 등 운용 수익에서 화폐 제조비를 차감하는 방식으로 시뇨리지로 계상했다.

전통적으로 시뇨리지는 정부의 재정 적자 보전 수단으로 인식돼 왔지만 최근에는 중앙은행의 재무적 독립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통화 정책 운영에 필요한 재원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 삶은 개구리 증후군[boiled frog syndrome]

    천천히 변하는 환경에 즉각 대응하지 못하면 큰 화를 당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말...

  • 소득수지[income account]

    국내 근로자가 외국에 나가 일해서 벌어들인 돈과 국내에서 일한 외국 근로자에게 지급한 돈의...

  • 스탠더드 앤드 푸어사[Standard & Poor’s Corpration, S&P]

    미국의 신용 평가회사로 미국의 무디스(Moody's), 영국의 피치(Fitch) IBCA와...

  • 실효세율

    실제로 납세자가 부담하는 세금의 비율. 세법상 정해진 법정세율이 각종 공제, 면세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