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뇨리지
[seigniorage]화폐에 대한 독점적 발권력을 갖는 중앙은행이나 국가가 화폐 발행을 통해 획득하는 이득을 의미한다.
한국은행의 ‘경제 용어 700선’에서는 시뇨리지에 대한 예를 이렇게 설명한다. “금속 화폐 시대에는 절대군주가 금은 등을 소재로 화폐를 제조해 유통하는 과정에서 화폐를 생산 비용보다 높은 액면 가치에 유통시킴으로써 시뇨리지가 발생했다.”
한편 명목 화폐 등장 이후에는 중앙은행이 화폐 태환력을 보장하기 위해 화폐 발행액을 부채로 인식하게 됐다. 이에 따라 화폐 시뇨리지는 수익으로 간주하지 않고 화폐 발행을 통해 취득한 유가증권 등 운용 수익에서 화폐 제조비를 차감하는 방식으로 시뇨리지로 계상했다.
전통적으로 시뇨리지는 정부의 재정 적자 보전 수단으로 인식돼 왔지만 최근에는 중앙은행의 재무적 독립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통화 정책 운영에 필요한 재원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
시장안정P-CBO
시장안정 유동화 증권.유동성에 일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의 회사채와 대출채권을 한데 묶...
-
세액감면[tax abatement]
납세의무의 감소. 세액감면은 납세의무의 일부가 면제되는 부분감면에서 납세의무가 완전히 면제...
-
소셜 애널리틱스[social analystics]
트위터나 페이스북같은 소셜 미디어의 메시지를 분석하는 것. 데이터 마이닝 (data min...
-
사용량-약가 연동제
청구액이 예상청구액 또는 전년도 청구액 대비 일정수준 이상 증가하여 보험재정 부담이 발생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