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계약학과

 

국가ㆍ지방자치단체 또는 산업체 등과의 계약에 의해 정원 외로 개설ㆍ운영할 수 있는 학위 과정이다. 2003년 산학협력 촉진을 위해 개정된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제8조에 의해 탄생 근거를 마련했다. 계약학과의 형태는 두 가지다. 특정 기업체 직원의 재교육이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재교육형''이 있고,채용을 조건으로 특별한 교육 과정의 운영을 요구하는 ''고용보장형''이 있다. 학부 또는 대학원 모두에 신설할 수 있다.

  • 구조조정 3트랙

    2016년 4월 26일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밝힌 부실기업 구조조정안. 기업구조조정을 경기민...

  • 공무원 정년

    조직의 신진대사를 도모하고 행정 능률성을 확보하기 위해 공무원이 일정 연령에 도달하면 퇴직...

  • 공적공간

    개인이 소유한 땅이지만 일반시민들도 이용할 수 있는 공공적 성격의 공간으로 공공보행통로, ...

  • 기계어[machine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