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무관용의 원칙

[zero tolerance]

사소한 규칙 위반에도 관용을 베풀지 않는 정책. 깨진 유리창이 있는 건물을 그대로 두면 사람들은 그 건물이 방치돼 있다고 여기고 다른 유리창을 부수면서 절도, 폭력 행위를 일삼게 된다는 범죄학자 조지 켈링의 ''깨진 유리창 이론(broken window)''에 근거를 두고 있다. 1994년 줄리아니 뉴욕시장은 브래튼 뉴욕경찰국장과 함께 "가벼운 범죄라도 용납하지 않겠다"며 제로 톨러런스를 선포했다. 일본은 학원범죄 대책으로 도입했으며, 우리나라도 노동계의 불법시위 등에 적용하고 있다.

  • 마찰적 실업[frictional unemployment]

    근로자가 스스로 새로운 직장을 찾기 위해, 혹은 정보가 없어서 아직 새 직장을 찾지 못한 ...

  • 민감시장[sensitive market]

    뉴스에 의해 쉽게 흔들리는 시장. 이러한 시장에서는 가격에 대해 좀더 확신 있는 전망을 가...

  • 무결점운동[zero defects]

    개별 종업원에게 계획기능을 부여하는 자주관리운동의 하나로 전개된 것으로 종업원들의 주의와 ...

  • 민료주의

    기업 내부의 관료주의. 총무·인사 등 관리부문이 지나친 사내규제로 회사 내의 주도권을 장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