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강제정리

 

증권거래소 시장에서 유가증권 매매거래에 있어서 위탁자인 고객이 추가담보나 매수대금 또는 매도증권을 납부하지 아니할 경우 증권회사가 임의로 이를 반대매매 또는 정리하는 것을 말한다.

신용거래의 경우 증권회사는 담보유지비율이 1백30%에 미달하게 된 때에는 해당 위탁자에 대해 추가담보를 요구하고, 요구일로부터 4일 이내에 담보의 추가납부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임의로 담보물을 처분하여 채권확보에 충당할 수 있다. 실물거래에서는 위탁자가 수도결제까지 매수대금 또는 매도증권을 납부하지 않는 경우 증권회사는 위탁자 구좌의 현금 또는 유가증권을 결제정리한다. 깡통계좌란 강제정리에 들어갈 경우 원금이 남아 있지 않은 악성미수·미상환계좌를 일컫는 말이다.

  • 길드[guild]

    서양 중세시대에 같은 직업을 가진 사람들끼리 동맹을 맺은조합인 ''길드''에서 따온 것으로...

  •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Global Telco AI Alliance]

    통신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 공기감염[空氣感染, aerial infection]

    바이러스가 공기 중에 떠다니다 타인이 공기를 흡입할 때 호흡기로 감염되는 것을 말한다. 바...

  • 간접광고[indirect action advertising]

    직접 구매 촉진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광고. 브랜드 명을 소비자들의 의식에 주입시키는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