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집단분쟁조정제도

 

50명 이상의 소비자가 같은 제품이나 서비스에 의해 피해를 받았을 경우 이를 접수한 소비자단체와 행정부처 등이 대신 분쟁조정위에 피해구제를 신청할 수 있는 제도다. 2007년 3월28일부터 시행된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소액 다수의 소비자 피해를 신속히 구제하기 위해 소비자단체소송과 함께 새로 도입됐다. 대상 업체가 조정안을 수용, 보상할 뜻을 밝히면 피해를 입었지만 분쟁조정 신청을 하지 않은 피해자도 보상받을 수 있다.

  • 정보 격차[digital divide]

    컴퓨터가 발전하고 인터넷의 효용이 증가할수록 정보소유계층(information have)과...

  • 조리사

    호텔이나 음식점, 단체 급식 식당에서 식자재를 가공하여 음식을 만드는 사람을 말한다. 조리...

  • 자료포락분석법[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생산효율성을 측정하는 방법중의 하나로 선형계획법을 기반으로 의사결정단위(DMU) 사이의 상...

  • 장애인연금

    장애로 인하여 생활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의 생활안정 지원과 복지 증진을 위해 지급되는 연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