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로스쿨

[law school]

대학졸업자들을 대상으로 3년간 법학 교육을 실시, 변호사로 배출시키는 대학원을 말한다. 미국의 대학과정에는 법학과가 없으며 로스쿨은 3년제 법과대학원이라 할 수 있다. 판 · 검사나 변호사가 되기 위해서는 다른 전공으로 대학을 졸업한 뒤 로스쿨에 진학해 학위를 취득한 후 BarExam(미국 변호사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법과대학원격인 로스쿨도 학부졸업생이면 누구나 입학지원이 가능하다. 학부성적과 로스쿨 어드미션 테스트(LSAT) 성적을 합산해 입학생을 선발한다. 로스쿨에 입학하면 1, 2학년 때는 헌법, 민법, 형법, 소송법 등 전공필수를 배우고 2, 3학년 때는 자신이 원하는 세부전공을 학습한다. 로스쿨 졸업 후에는 변호사 자격시험인 BAR 테스트를 볼 수 있다. 변호사 자격시험은 로스쿨을 정상적으로 이수하면 거의 합격한다.

로스쿨 가운데 미법조인협회(ABA)의 인증을 받은 곳을 졸업해야만 변호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제도 도입이 논의된 지 12년만인 2007년 7월에 법학전문대학원 설치·운영에 관한 법률(로스쿨법)안이 통과 됐고 2009년 3월 도입됐다.

  • 롱스탑[long stop]

    외환시장에서 매수(long)를 멈춘다(stop)는 뜻으로 달러를 손절매 하는 것을 말한다.

  • 로카[ROCA]

    한국에 진출한 외국은행지점 및 국내은행 국외지점의 경영실태를 평가하는 방식. 국내은행을 평...

  • 리쇼어링[reshoring]

    해외에 진출했던 기업들이 다시 본국으로 돌아오는 현상. 싼 인건비나 판매시장을 찾아...

  • 리튬-황 전지[lithium-sulfur battery]

    황 나노물질을 이용해 용량이 크고 안전성이 확보된 전지를 개발하는 기술이다. 싼 값에 높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