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역부의 효과

[negative wealth effect]

자산이 약세를 보이면서 소비심리가 얼어붙어 실물경제가 더욱 침체되는 악순환 현상을 말한다.

주식이나 부동산 등 자산의 가치가 증대되는 경우 실소득이 늘지 않더라도 소비가 늘어나는 ''부의 효과''와 정반대의 개념이다.

자산 가격이 급속도로 하락하면 경제 주체들은 소비를 줄이게 된다. 자산을 취득하려고 끌어온 부채를 갚기 위해선 허리띠를 졸라매는 수밖에 없어서다.

자산 가격 하락은 단번에 끝나지 않는다. 자산 가격이 떨어지기 시작하면 금융회사는 부채 상환을 요구하고 채무자들은 너도나도 자산을 매각하게 된다. 하락이 하락을 불러오는 악순환에 빠지는 것이다. 1990년 시작한 일본의 자산 가격 하락은 2005년까지 지속됐다. 2002년엔 1990년 대비 자산 가치 하락 규모가 1500조엔(약 1경5645조7500억원)에 달하기도 했다. 이 시기는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으로도 불린다.

  • 에코쉬크[Eco Chic]

    자연친화적이면서도 현대적인 멋스러움이 살아있는 상품이나 디자인을 뜻한다. 폭넓게는 친환경 ...

  • 우드펠릿[wood pellet]

    임업 폐기물이나 벌채목 등을 분쇄 톱밥으로 만든 후, 길이 3~4cm 내외 굵기 1cm 이...

  • 인포데믹[infodemic]

    정보라는 뜻의 information과 전염병을 뜻하는 epidemic의 합성어. SNS를...

  • 이지스 어쇼어[Aegis Ashore]

    일본 정부가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육상배치형 탄도미사일 방어(MD) 시스템. 해상자위대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