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자체발광형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어떤 각도,조명에서 보아도 화면의 잔상이라든지 스크래치, 명암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 꼭 살아있는 유기체 같다 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구동 방식에 따라 능동형과 수동형으로 구분된다. 능동형 OLED는 LCD보다 응답속도가 최소 1,000배 이상 빨라 화질이 매우 뛰어나다. 화면 뒤에 백라이트를 사용하는 LCD와 달리 광원이 필요 없고 소비 전력도 LCD에 비해 최대 66%가량 줄일 수 있다. 능동형은 수동형에 비해 제조 공정이 다소 복잡하지만 고화질과 대형화에 유리하다.

  • 녹아웃[knock-out]

    주가지수연동예금 (ELD)에서 주가 상승률이 일정 수준을 넘어가면 향후 주가 움직임에 관계...

  • 네트러프러너[netrepreneur]

    인터넷(Internet)과 엔트러프러너(Entrepreneur·기업가)의 합성어로, 미국에...

  • 노광 공정[stepper exposure]

    전공정에 해당. 마스크에 빛을 통과시켜 웨이퍼에 회로를 인쇄하는 공정.

  • 누진세[progressive tax]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세율이 증가하는 과세 제도. 소득이 많을수록 더 많은 세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