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화이트 바이오

[White Biotechnology, white BT]

옥수수, 사탕수수, 목재류 등의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사용하여 탄소저감 효과가 큰 바이오 기반 화학제품 또는 바이오연료 등의 물질을 생산하는 산업기술을 말한다.

'바이오화학' 또는 '산업바이오(industrial biotechnology)'라 불리기도 한다. 화이트 바이오의 대표적 제품으로는 바이오 플라스틱을 꼽을 수 있다. 바이오 플라스틱은 '썩는 플라스틱'으로 잘 알려진 생분해성 플라스틱(폐기 후 일정 조건에서 미생물에 의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는 플라스틱)과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옥수수·사탕수수·나무 등 식물유래 자원에서 추출한 것을 원료로 만든 플라스틱)으로 나뉜다.

화이트 바이오 기술의 핵심은 소위 말하는 바이오 리파이너리(Bio-refinery)이다. 바이오 리파이너리는 주로 목재나 폐기물 등 비균질한 원료인 바이오매스를 사용해 에탄올, 부탄올 등 알코올계 연료를 생산하는 것이다.


화이트 바이오 기술이 주목받는 이유는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사용함으로써 원유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각종 환경오염물질의 배출을 획기적으로 감축시킬 수 있는 지속성장형 산업기술이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를 해결 할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 헤지[hedge]

    현물 가격 변동의 위험을 선물가격변동으로 제거하는 것으로 '위험회피'또는 '위험분산'이라고...

  • 한국인프라투자플랫폼[Korea Infrastructure Investment Platform, KIIP]

    도로 철도 등 인프라 부문에 민간투자를 확대하기 위해 산업은행 주도로 설립되는 투자 협의체...

  • 해외공사보험

    해외공사계약 체결후 그 공사에 필요한 물품의 수출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공사대금을 받을 수 ...

  • 화이트 스페이스[white space]

    TV 채널 간 주파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완충지역으로 남겨두어 쓰이지 않고 있는 주파수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