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인적분할

 

기존 (분할)회사 주주들이 지분율대로 신설 법인의 주식을 나눠 갖는 방식의 기업분할. 따라서 인적분할은 주주구성은 변하지 않고 회사만 수평적으로 나눠지는 수평적 분할이라고 할 수 있다.

주식매수청구권 행사가 없어 기업들이 자금 부담을 더는 측면에서 선호한다. 주주들로선 존속법인과 신설 법인 간 주식배정 비율 산정이 중요하다.

상장사의 경우 이해관계가 부딪치는 많은 주주들을 설득하기에도 유리한 것으로 평가된다. 분할하게 되면 법적으로 독립된 회사가 된다.

인적분할이 되면 법적으로 독립된 회사가 되며 분할 후 곧바로 주식을 상장할 수 있다. 주주가 사업회사 주식을 투자회사 주식으로 교환, 지배력을 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지주회사로 전환하는 기업들이 선호한다.

한편 물적분할의 경우 분할회사(기존회사)가 새로 만들어진 회사의 주식을 소유하게 된다. 즉 인적분할과 물적분할의 차이는 신설법인의 주식의 소유권이 기존회사의 주주와 기존회사 중 누구에게 주어지느냐에 달려 있다.

관련어

  • 양키 본드[yankee bond]

    양키본드는 미국 시장에서 비거주자가 발행하는 달러화 표시 채권을 가리킨다. 양키 본드는 상...

  • 이익증여신탁

    고객이 신탁에 주식, 펀드, ELS 등을 맡기면 원금은 고객에게 주고 이익에 해당하는 주식...

  • 엑시노스 7420[Exynos7420]

    엑시노스는 삼성전자가 자체 개발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브랜드로 엑시노스 7...

  • 이즈리얼 커즈너

    이즈리얼 커즈너 미국 뉴욕대 명예교수(87)는 영국에서 유대인 랍비의 아들로 태어났다. 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