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일반재산

 

국유재산 가운데 행정재산(도로 하천 정부청사 등)과 보존재산(국가유산 등)을 제외하고 용도가 정해져 있지 않아 대부, 매각, 교환, 양여, 현물출자 위탁 활용 등이 용이한 국유재산을 의미한다.


이전에는 '잡종재산'으로 불리었으나 2008년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 일부개정법률안'이 통과됨에 따라 2009년부터 명칭이 '일반재산'으로 변경됐다.

  • 엔젤산업[angel industry]

    영유아 상품 및 서비스 시장을 말한다. 0~6세까지 영·유아 및 7~14세 아동이 대상이다...

  • 유엔무역개발회의[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 UNCTAD]

    개발도상국의 산업화와 국제무역 참여를 지원하기 위해 설치된 유엔총회 상설기관. 1964년 ...

  • 옵션[option]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일정기간 이내 혹은 만기일에 해당 자산을 사거나 팔 수 있는 선택권...

  • 오바마케어(환자보호 및 부담적정보험법)[ObamaCare, Patient Protection and Affordable Care Act, ACA]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주도하는 미국의 의료보험 시스템 개혁 법안으로 정식 명칭은 ‘환자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