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일반재산

 

국유재산 가운데 행정재산(도로 하천 정부청사 등)과 보존재산(국가유산 등)을 제외하고 용도가 정해져 있지 않아 대부, 매각, 교환, 양여, 현물출자 위탁 활용 등이 용이한 국유재산을 의미한다.


이전에는 '잡종재산'으로 불리었으나 2008년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 일부개정법률안'이 통과됨에 따라 2009년부터 명칭이 '일반재산'으로 변경됐다.

  • 양도소득세[讓渡所得稅, capital gains tax]

    토지나 건물 등 부동산이나 부동산 분양권 또는 주식과 같은 자산에 대한 권리를 양도할 때 ...

  • 엘리베이트[Elevate]

    현대자동차가 개발중인 걸어다니는 차. 엘리베이트는 현대차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운영중인 ...

  • 임팩트 투자[impact investment, impact investing]

    투자행위를 통해 수익을 추구하는 것뿐 아니라 사회나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업이나...

  • 업무최고책임자[Chief Operating Officer, COO]

    회장의 정책방침에 따라 일상 업무를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행한다. 우리 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