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워싱턴 컨센서스

[Washington Consensus]

1990년 미국 국제경제연구소(IIE)가 남미 국가들의 경제위기 해법으로 제시한 세제개혁, 무역ㆍ투자 자유화, 탈규제화 등 10가지 정책으로 미국식 시장경제체제를 주 골자로 한다.

미국의 정치경제학자인 존 윌리엄슨이 1989년 자신의 저서에서 제시한 남미 등 개도국에 대한 개혁처방을 ‘워싱턴 컨센서스’로 명명한 데서 유래되었다.

이후 1990년대 초 IMF와 세계은행, 미국 내 정치경제학자들, 행정부 관료들의 논의를 거쳐 ‘워싱턴 컨센서스’가 정립되었다. 이후 미국 주도 신자유주의의 대명사로서 워싱턴 컨센서스는 동구 사회주의국가 체제 전환과 1990년대 후반 아시아의 경제위기 극복 과정에서 주요 개혁정책으로 채택됐다.

이 용어는 반세계화주의자들에 의해 미국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금융자본주의의 거대한 음모 내지는 술수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또한 중남미에서 좌파정권 도미노를 부른 원인으로 워싱턴 컨센서스의 실패가 지목되면서 베이징 컨센서스가 보다 현실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 안전채권

    안전채권은 은행대출금이나 유가증권 등을 비롯한 금융기관의 자산 가운데 돈을 돌려받지 못할 ...

  • 융합기술[convergence technoology]

    2개 분야 이상의 과학기술이나 학문분야를 결합,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 나노기술(N...

  • 예금자보호한도

    금융기관 파산 시 예금보험공사가 예금자에게 보장해주는 제도이다. 2024년 11월 2...

  • 의도적 언보싱[Conscious Unbossing]

    젊은 근로자들이 직장에서 일부러 중간 관리직으로의 승진을 거부하거나 기피하려는 경향을 뜻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