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타이어 코드

[tire cord]

자동차 타이어의 수명, 안전성, 승차감 등을 높이기 위해 고무내부에 넣는 섬유 재질의 보강재. 초기에는 면사를 엮어 만든 보강재를 넣었으나 마찰에 약했다. 이후 신소재가 개발이 되면서 지금은 비포장 도로용 타이어에는 나일론 타이어코드를, 일반 승용차에 많이 사용되는 래디얼 타이어(포장도로용)에는 폴리에스테르 타이어코드를 쓴다. 또한 고속 주행용 타이어에는 레이온 타이어코드를 주로 사용한다.
한국은 1960년대 중반까지 전량 수입하다가 효성첨단소재가 1968년 나일론 타이어코드 생산에 성공하면서 국산화하기 시작했다. 1978년 국내 최초 독자기술 생산을 시작한 폴리에스테르 타이어코드는 2000년부터 매년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 탄소배출권 상장지수펀드

    탄소 배출권 선물가격으로 구성된 기초지수를 따라 수익을 내는 상장지수펀드. 주로 미국...

  • 특이점[singularity]

    인공지능이 비약적으로 발전해 인간의 지능을 뛰어넘는 기점을 말한다. 컴퓨터 중앙처리장치의 ...

  • 트립강[transformation-induced plasticity steel, TRIP]

    트립강은 탄소, 실리콘, 망간을 첨가해 강도와 연신율을 동시에 확보한 강철을 말한다. 포스...

  • 탄소국경세[carbon border tax]

    탄소 고배출 산업에 부과하는 일종의 관세로 유럽연합이 주도하고 있는 관세 형태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