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타이어 코드

[tire cord]

자동차 타이어의 수명, 안전성, 승차감 등을 높이기 위해 고무내부에 넣는 섬유 재질의 보강재. 초기에는 면사를 엮어 만든 보강재를 넣었으나 마찰에 약했다. 이후 신소재가 개발이 되면서 지금은 비포장 도로용 타이어에는 나일론 타이어코드를, 일반 승용차에 많이 사용되는 래디얼 타이어(포장도로용)에는 폴리에스테르 타이어코드를 쓴다. 또한 고속 주행용 타이어에는 레이온 타이어코드를 주로 사용한다.
한국은 1960년대 중반까지 전량 수입하다가 효성첨단소재가 1968년 나일론 타이어코드 생산에 성공하면서 국산화하기 시작했다. 1978년 국내 최초 독자기술 생산을 시작한 폴리에스테르 타이어코드는 2000년부터 매년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 토빈세[tobin tax]

    모든 국가간 자본 유출입 거래에 대하여 단일세율을 적용하는 외환거래세의 일종이다. 1978...

  • 퇴직예고제

    종업원이 퇴직을 원할 때 일정 기간 이전에 고용주에게 퇴직 의사를 미리 통고해야 하는 제도...

  • 태양광

    햇빛을 전기로 전환해 만든 에너지.반도체로 이뤄진 태양전지가 햇빛을 받아 전기에너지를 발생...

  • 특수형태근로

    독자적인 사무실, 점포 또는 작업장없이 비독립적인 형태로 업무를 수행하는 근로자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