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시장화 테스트

 

일본정부가 공공 서비스 담당자로 공공 기관과 민간 기업 중 어느 쪽이 적임인지를 입찰을 통해 결정하는 제도. 관공서가 담당해 온 업무를 민간에 개방해 대국민 서비스 품질을 높이고 코스트를 삭감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06년 5월 일본국회에서 ''공공 서비스 개혁법(통칭 시장화 테스트법)''이 통과됐으며 2007년도부터 본격적으로 경쟁 입찰을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앞서 사회보험청이 맡아온 국민연금 보험료 징수 등 일부 사업은 지난해부터 시범 사업으로 민간에 위탁돼 운영되고 있다.

  • 실시간 기업[Real Time Enterprise, RTE]

    실시간 기업(RTE)이란 기업 내ㆍ외부 업무처리를 실시간으로 처리함으로써 경쟁력을 극대화한...

  • 스케일업[scale-up]

    사전적으로는 규모(scale)을 확대(up)하는 것을 뜻한다. 기술, 제품, 서비스, 기계...

  • 산업바이오[Industrial Biotechnology]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사용하거나 생산공정에 효소, 또는 미생물을 이용해 화학제품을 제조하는 ...

  • 실질실효환율[real effective exchange rate]

    실질실효환율(Real Effective Exchange Rate, REER)은 한 나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