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대안입찰

[alternative tender]

대안입찰은 정부가 발주하는 1백억원 이상 대형 공사 중 정부의 원안과 달리 입찰자가 별도로 마련한 대안을 제시해서 입찰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때 대안은 정부가 작성한 설계서상의 공종 중에서 대체가 가능한 공종에 대하여 기본방침을 변경하지 않고 정부 설계보다 기능이나 효과가 뛰어나다고 판정될 때만 인정된다. 또 예정가격이 정부 원안보다 낮고 공사기간도 짧아야 한다.

대안입찰은 ‘대형공사계약에 관한 예산회계법 시행령 특례규정’에서 허용되고 있다. 이같은 대안입찰을 허용하는 것은 민간기업의 창의를 살리고 기술발전을 정부공사에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대안입찰을 받은 정부는 원안을 살리면서 최저가로 입찰한 기업과 대안입찰가격을 제시한 기업을 비교해 선정한다. 대형공사의 경우는 대안입찰 외에 설계시공 일괄입찰(턴키베이스) 등 다양한 방식을 허용해 시공자에게 공법상의 탄력성을 주고 있다.

  • 다기능팀 전략[cross-functional team]

    일반적으로 대기업에서는 연구개발, 생산, 마케팅, 판매의 각부문이 독립적으로 기능해 왔다....

  • 도시기본계획

    국토건설종합계획 등 상위계획의 내용을 수용·발전시켜 도시의 장기적인 발전방향과 미래상을 제...

  • 디지털 휴먼[digital human]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인간의 모습과 행동을 재현하는 가상의 인간으로 AI 휴먼, 버츄얼...

  • 동력집중식 열차

    동력원이 맨 앞쪽과 뒤쪽의 전동차량에만 달려 있는 열차. 동력원이 있는 두 칸의 기관차에는...